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시대

조회수 : 3,194

공고
작성일 2019.07.02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스마트 공장 확산과 정보보호 세미나’를 오늘(4월 19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했습니다.

정부와 산학연 전문가 등 1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한 이번 세미나는 ‘5G+전략’의 후속조치로 5세대(5G) 이동통신 스마트 공장에 관한 글로벌 트렌드를 공유하고, 정보보호 관련 최신 동향과 대응전략을 공유하기 위한 정책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었습니다.

특히 오늘 세미나는 5세대(5G) 이동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공장 확산에 따른 스마트 공장 위협과 대응전략 방안 등을 점검하고, 향후 우리 기업의 정보보호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굴하는데 초점을 두고 1, 2부 세션으로 구분해 진행되었습니다. 

 


▲ 5G 시대 스마트공장 확산과 정보보호 세미나 현장

 

 

1부 세션에서는 독일에서 개최된하노버 박람회(Hannover Messe 2019)의 스마트제조 관련글로벌 트렌드를 공유하고 5세대(5G) 이동통신을 활용한 기술혁신과 스마트 공장의 미래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세션에서는 한국스마트제조산업협회 이길선 사무국장, 5G를 활용한 스마트공장의 미래, 국가기술표준원 최동학 박사의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또 2부 세션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 김준영 사무관의 정부의 스마트공장 확산 제조전략 발표를 시작으로 기술표준 기반 스마트 공장의 미래, 수많은 센서·기기연결로 과거보다 복잡한 스마트 공장에 대한 사이버위협과 대응전략을 공유했습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스마트공장 구축에 있어서 보안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5G 기술 도입단계부터 해킹과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한 우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기업과 정부의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1, 2부에 이어서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공장의 자동화, 무인화(로봇화), 5세대(5G) 이동통신 응용 등 초연결화에 따른 스마트공장의 해킹과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한 산업안전(safety), 물리보안, 정보보안(cyber security)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주제로 산학연 관련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오용수 정보보호정책관은 개회사를 통해 “5세대(5G)이동통신 기반 초연결 환경에서 수백억 개의 사물이 서로 연결되는 스마트 공장의 생산 공정은 빠르고 효율화 됐지만 사이버 위협은 늘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스마트 공장의 설계 초기부터 보안이 고려되어, 혁신성장 산업인 스마트 공장이 더욱 안전하게 확산 및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을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5G+전략’의 후속조치로 산업부, 중기부와 함께 과기정통부가 스마트공장 보안문제에 대하여 부처간 공동의 문제를 인식하여 협업을 위한 기반 마련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될 것을 강조했습니다.